중국의 위안화 경제권 확장은 미국을 흔들 수 있을까?

중국의 위안화 경제권 확장은 미국을 흔들 수 있을까?

작성자 생크션랩

China View

중국의 위안화 경제권 확장은 미국을 흔들 수 있을까?

생크션랩
생크션랩
@sanctionlab
읽음 478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중국이 요즘 디지털 위안화 경제권 및 자체 결제망인 CIPS 확장에 힘을 쏟고 있어요. 지난 26일에는 무역 거래에서의 위안화 결제 비율을 25%에서 40%로 올리기도 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달러 중심의 금융 질서, 이제 끝인가?’ 싶은데…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분석이 나왔어요.

일본 안정보장무역정보센터가 이 흐름을 짚은 보고서를 냈는데요,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제: 미국 제재는 달러 패권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미국의 금융 제재는 ‘달러 패권’을 기반으로 해요. 전 세계 대부분의 금융 거래가 달러로 이루어지고, 미국 금융 시스템을 거치니까, 미국은 자국 법을 해외 금융기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거죠. 또 제재 대상과 거래한 외국 은행도 달러 결제망에서 쫓아내는 '2차 제재'를 가할 수 있죠.

🇨🇳 중국의 반격: 위안화 경제권 만들기

중국은 이에 맞서 ‘위안화 경제권’을 만들려 하고 있어요. 핵심은 두 가지:

  • 자체 결제망 CIPS: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국제 결제망 SWIFT에 대항해 만들어진 중국의 자체 결제망으로, 위안화로 직접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에요.

  • 디지털 위안화: 파일럿 프로젝트도 벌써 몇 년째 진행 중이죠.

특히 서방 제재로 SWIFT에서 쫓겨난 러시아나 중동 산유국과의 거래에서 위안화 결제가 늘고 있어요. 중국은 여기에 금 보유도 늘리며 외환 리스크 분산을 꾀하고 있고요.

😶 그런데 아직 한계도 뚜렷해요

보고서는 중국의 시도가 “지금 당장 미국 제재 체계를 뒤흔들 수준은 아니다”라고 봤어요. 이유는요:

  • 위안화의 낮은 신뢰도: 환율, 자본 유출입을 정부가 꽉 쥐고 있어, 다른 국가들이 이를 신뢰하고 사용하기가 힘들어요.

  • 법적·제도적 불투명성: 글로벌 투자자들이 위안화를 선호하지 않는 배경이에요.

  • CIPS의 한계: SWIFT처럼 다양한 통화를 다루지도 못하고, 아직은 SWIFT 네트워크를 같이 써야 할 정도로 인프라가 부족해요.

🧠 디지털 위안화, 무서운 속도… 하지만?

중국은 디지털 통화(CBDC) 개발에 있어서 세계에서 제일 앞서 있어요. 이미 여러 도시에서 시험 운용했고요. 미국이나 유럽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과 대조적이에요.

하지만 디지털이라고 해도 기존 위안화가 가진 구조적 한계(폐쇄적 시스템, 낮은 신뢰도 등)를 완전히 극복하긴 어렵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에요. 다시 말해, 디지털화 자체로 달러 패권에 맞서긴 힘들다는 거죠.

🏙️ 중국을 실질적으로 막기 위해선 '홍콩'이 관건

중국의 외화 거래는 홍콩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요. 중국 통계에 따르면, 외국과의 위안화 결제 중 무려 46%가 홍콩을 통해 발생했다고 해요. 이유는 간단해요: 중국 본토에선 외환-위안화 간 자유로운 환전이 어렵거든요.

그래서 미국 등 서방이 중국을 제대로 제재하려면 홍콩 금융기관까지 제재 대상에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홍콩은 뉴욕·런던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금융 허브라는 점에서 과도한 제재는 리스크가 크다는 지적도 있어요.

📌 앞으로 주목해야 할 포인트들

위안화 거래 확장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금융 생태계를 흔들 수 있는데요. 어떤 분야나 상황에서 위안화 결제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1. '글로벌 사우스'에서 위안화 결제 확대 가능성
    글로벌 사우스(개발도상국이나 일대일로 국가들)에서 위안화 결제가 더 쉬워지면, 경제권이 커질 수도 있어요.

  2. 정치·안보 블록화와 통화 전략
    중국 중심의 블록을 만들고, 그 안에서 위안화 사용을 강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어요.

  3. 에너지 자원 거래의 위안화 결제 확대
    특히 러시아·이란과의 원유 거래에서 위안화 사용이 늘고 있죠.

  4. CIPS의 제재 회피 수단화 가능성
    신흥국 중심으로 위안화 결제권이 확대되면, 달러 결제권과 위안화 결제권이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 구조로 세계 금융권이 변화할 수 있어요.

🧭 정리하면?

중국의 시도는 미국 중심 금융 제재 체계에 대한 ‘장기적 도전’이에요. 단기적으로는 큰 변화가 없겠지만, 디지털 위안화와 CIPS 확산이 어디까지 갈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