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7 경제안보 브리핑💸]
작성자 SanctionLab
글로벌 경제 브리핑💸
[12.17 경제안보 브리핑💸]
12월 17일, 오늘의 경제안보 뉴스를 흝어보세요! 오늘은 러시아 제재에 분투하는 서방국가들의 움직임, 특히 자금세탁과 관련된 이슈들이 눈에 띄는데요💱 브리핑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를 남겨주세요❤️
📢러시아 스치기만 했는데 … 9억달러 가치 英 핀테크, 자금세탁 의혹에 결국 파산
https://www.sanctionlab.com/?p=7871
핀테크 기업 스텐 테크놀로지스가 러시아 관련 자금세탁 의혹으로 HSBC의 조사를 받고, 영국 법원에 관리 절차가 신청되며 사실상 파산에 이르렀어요. 🛑 스텐은 중소기업(SME)을 위한 인보이스 금융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했지만, AML 시스템의 허점과 불투명한 거래 구조가 드러난 것이 문제였습니다. 서방 국가들 전체가 러시아 관련 이슈에 민감해진 지금, 의혹만으로도 이런 사태가 발생하는군요😱. 핀테크 산업의 급성장 속 규제와 리스크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 옐런 재무장관 “중국 은행 제재 가능성 배제 안 해…암흑 선단 단속 강화!”
https://www.sanctionlab.com/?p=7907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이 러시아의 전쟁 자금 차단을 위해 암흑 선단(Dark Fleet) 유조선 제재를 강화하고, 중국 은행도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 러시아산 석유 가격 상한선을 60달러 이하로 인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며, 이는 서방 보험·해상 서비스 차단을 통해 러시아의 수익을 줄이려는 조치입니다. 🌍 중국은 2차 제재 가능성을 의식하며 경계하고 있지만, 미중 간 경제 대화 채널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
📢 캐나다, 자금세탁법 개정…수출입과 금융 서비스에 자금세탁 방지 의무➕
https://www.sanctionlab.com/?p=7853
캐나다가 자금세탁방지법(PCMLTFA)을 개정해 팩토링, 리스, 수표 현금화, 수출입 업자에게도 자금 출처 확인 의무를 부여합니다. 🚨 수출입 기업은 범죄 수익·제재 위반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허위 선적 방지를 위해 6년간 기록 보관이 필수! 📋 이번 개정안은 2025년 10월 1일 시행 예정이며, AML 시스템 강화를 통해 금융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