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차크라가 열린 이는 스스로를 진심으로 사랑합니다. 열린 마음으로 타인과의 사랑을 주고 받는 데 능숙하지요. 타인을 생각하면서도 본인을 무시하거나 희생시키지 않으며, 친절하며, 인내심이 강하며, 자비를 베풀 줄 알고요.
그리고 <나> 에서 <우리> 로 생각을 확장할 줄 압니다. 그들의 생각, 말과 행동에는 사랑과 연민이 담겨 있어 타인도 기쁨, 신뢰, 친절, 연결을 쉽게 느낄 수 있게 되지요.
그렇게 사랑은 심장 차크라가 열린 사람들을 통해 자유롭게 흐릅니다.
아나하타의 사랑은 대가와 보상에 무관심하다. 이전 단계에서는 자신의 욕구에 집중했다면 아나하타에서는 상대의 욕구에 관심을 갖는다. 아나하타에 있는 사람은 나와 남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에게 주는 것이 곧 자신에게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아나하타의 사랑은 개인을 넘어 타인과의 관계를 인식하게 된다. / <심리학자는 왜 차크라를 공부할까> 박미라
그렇다면 이 심장 차크라, 어떻게 더 활짝 열 수 있을까요?
🦚 마음을 여는 4가지 방법
1) 가슴을 여는 아사나 🔓
가슴을 열어내는 방식으로 몸을 움직여 보세요.
업독, 부장가아사나, 우르드바 다누라아사나, 같은 Heart-opening, Chest-opening 자세들은 심장 차크라를 여는데 많은 도움이 돼요. 야외요가의 계절, 초록의 잔디 위에서 이렇게 가슴과 심장을 여는 아사나를 수련하면 좋겠죠.
업독 자세는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해 볼게요.
2) 안아주기 🫂
옆에 있는 사람을, 동물을, 그리고 스스로를 안아주세요.
저는 한국 사회가 참 외로운 이유가, 포옹을 하지 않아서가 아닐까? 하고 가끔 생각해요. 누군가를 와락 안는 행위는 타인을 향한 애정을 표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인데 우리는 가족 사이의 포옹도 쑥스럽게 느끼니까요.
그렇지만 한 번 안아보세요.
포옹 한 번으로 "난 네가 좋아, 지금 너에게 마음을 쓰고 있어, 너를 위로하고 싶어, 너와 더 함께하고 싶어" 같은 마음을 때로는 말보다 더 진실되게 전달할 수 있어요. 몸으로 전해지는 친밀감은 우리를 다른 사람들과 쉽게 연결되게 하고, 마음의 장벽을 무너뜨려요.
구독자님은 지금 누구를 안아주고 싶나요? 이번 주에 그 사람을 안아줄 수 있나요?
3) 자애 명상 & YAM 챈팅 🧘🏾♂️
영어로는 Loving-Kindness Meditation 라고 하는 자애 명상을 연습해보세요. 불교 전통 메타 수행에서 유래한 이 자애명상의 '자'는 스스로 자(自)가 아닌 사랑 자(慈)자를 쓴답니다.
야마의 아힘사처럼, 나와 타인을 향해 자비로운 연민의 마음을 길러보는 겁니다.
심장 부근에 따뜻한 물을 채운 병을 올려놓고 YAM 챈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나는 안전, 행복, 평안 속에 있습니다' 등의 확언을 통해 먼저 나부터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보내주고, 그 다음으로 '당신이 행복하기를, 안전하기를, 평안하기를 바랍니다' 라고 타인에게도 같은 마음을 보내며 그 대상을 점차 확장시켜 봅니다.
심장차크라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한 YAM 챈팅 ⓒ Meditative Mind
자기 자신을 자애의 첫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본보기로 삼기 위해서이다. 내가 행복하기를 원하고 고통이나 불행, 죽음을 원하지 않는 것처럼 다른 중생들도 그렇다고 알 때, 타인의 행복과 안녕에 대한 기원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자신을 대상으로 자애를 충분히 닦았다면 이젠 네 부류의 사람들에게 차례대로 자애를 닦아야 한다. 첫째는 존경하는 분, 둘째는 좋아하는 사람, 셋째는 중립의 사람, 그리고 넷째는 싫어하는 사람이다. / 법보신문
4) 감사 일기 쓰기 ✍️
포스트잇, 휴대폰 속 메모장, 아니면 감사일기만을 위한 노트? 어떤 방식이든 괜찮아요. 구독자님 일상 속에서 감사할 일이 무엇이 있나 적어보세요. 좋아진 날씨, 움직이는 몸, 가족, 친구, 오늘도 나만을 바라보는 강아지와 고양이, 동료가 지나가듯 베푼 호의... 특별하진 않지만 내 일상을 지탱하는 그런 것들에 대해서요.
오늘 감사했던 일을 짧게 적는 간단한 방법으로, 끝도 없이 이어지기 쉬운 부정적인 생각의 고리를 끊어내고, 사랑과 긍정에 집중할 수 있답니다.
BONUS. 시금치, 상추, 브로콜리, 녹차 같은 초록색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좋아요.
심장 차크라를 활성화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아사나이자 빈야사에서 자주 만나는 자세죠. 업독 자세, 우르드바 무카 스바나사나를 소개합니다.
업독 / Urdhva Mukha Svanasana / Upward Facing Dog
Urdhva 위+ Mukha 얼굴 + Svana 개 +Asana 자세
굳어있는 등, 척추, 라운드 숄더에 효과적인 자세입니다.
두 발은 골반 너비로 벌리고, 바닥에 배를 깔고 엎드린 자세에서 팔꿈치 구부려 어깨 옆에 손바닥을 놓습니다. 발등으로 바닥을 꾹 눌러냅니다.
숨 들이쉬고 팔을 펴내면서 상체를 위로 들어올리고, 가능하면 무릎도 띄어봅니다. 발끝부터 허벅지는 일자를, 어깨와 귀는 멀게 유지합니다. 시선 위를 바라봅니다.
손목과 발목에 통증이 있는 분들 그리고 임산부는 이 자세를 피해주세요.
🌬️ 심장 차크라의 요소는 공기! 지난 2주간 소개해드린 프라나야마와도 밀접하겠지요.
불교와 명상에 관한 양서를 만드는 출판사 담앤북스에서 정가 3만원 상당의 책 <요가호흡, 프라나야마> 를 증정해주셔서, 구독자분들과 나누는 이벤트를 3월 25일까지 진행합니다.
특별히 한국어판에만 더해진 메디컬 아티스트의 섬세한 일러스트와 총 520페이지에 담긴 자세한 설명을 읽다보면 요가의 호흡법, 프라나야마를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