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피해자별세 #‘하늘이법’제정 #딥시크사용중단

#‘위안부’피해자별세 #‘하늘이법’제정 #딥시크사용중단

작성자 뉴닉

1분뉴스

#‘위안부’피해자별세 #‘하늘이법’제정 #딥시크사용중단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6,306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씨가 별세했어요.

지난 16일 오후, 향년 97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세상을 떠난 것. 그는 매주 수요 시위에 참여하고, 유엔 인권이사회·국제노동기구(ILO) 총회에 참석해 피해를 증언하는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인권운동가였는데요. 현재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총 240명이지만, 길 씨가 세상을 떠나며 생존자는 단 7명이 됐어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직 해결되지 않은 게 많다고? 👉 8월 14일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보러 가기


정부와 국민의힘이 ‘하늘이법’ 제정에 속도를 내겠다고 했어요. 🏫

초등학교에서 숨진 고 김하늘 양과 같은 피해자가 더 나오지 않도록 법 개정안(=‘하늘이법’) 마련을 서두르겠다고 한 거예요. 법안에는 (1) ‘고위험군 교사’를 학교에서 긴급 분리할 수 있게 하고 (2) 문제시 긴급 대응팀을 파견하고 (3) 심의위원회를 설치해 휴·복직 절차를 강화하는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인데요. 늘봄학교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이 귀가할 땐 보호자와 함께 귀가하도록 하는 원칙 등도 세울 예정이라고.

비극이 반복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고 김하늘 양 사건, 진짜 원인은 우울증이 아니라고? 보러 가기


미국 국무부 홈페이지에서 ‘대만 독립 반대’ 문구가 삭제됐어요. 🇹🇼

최근 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올라온 한 문서에 “우리는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삭제된 사실이 알려졌어요. 대신 (1)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바란다는 내용과, (2) 어느 쪽에서든 현 상황을 일방적으로 바꾸는 것에 반대한다는 내용이 들어갔다고. 미국은 그동안 ‘하나의 중국 정책’을 지지해 왔는데요. 친대만 성향을 보이고 있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행보가 반영된 거라는 말이 나와요.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의 국내 사용이 당분간 중단돼요. 🤖

딥시크가 사용자의 이름·위치정보 등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있다는 논란이 커지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딥시크 앱 국내 사용 당분간 중단할게!” 발표한 거예요. 이에 따라 이미 앱을 다운받은 사용자는 계속 이용할 수 있지만, 신규다운로드는 제한되는데요. 이후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에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인력을 대량 해고해 논란이 되고 있어요.

최근 미국에선 조류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1년 전보다 계란 가격이 50% 넘게 치솟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기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가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을 책임지는 미국 농무부 산하 프로그램 사무국 직원 25%를 해고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거예요. 실제 일부 연구소는 방역 대응이 느려질 거라는 통보를 받기도 했다고. 이에 “인플레이션 잡겠다던 트럼프가 계란 가격 더 올리는 거 아냐?” 하는 비판이 나와요.


직장인이 내는 근로소득세 비중이 계속 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

근로소득세는 근로자가 근로의 대가로 받는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인데요. 지난해 우리나라의 근로소득세 수입은 61조 원으로, 전년보다 1조 9000억 원 늘었어요. 이는 전체 세금 중 18%로, 역대 최대 수준이라고. 취업자 수 증가·명목임금 증가 등으로 근로소득세 수입이 늘어난 것에 비해 법인세 등 다른 세금이 줄어 근로소득세 비중이 늘어난 거라는 분석이 나와요. 이에 “경기 침체로 줄어든 세금을 근로자 부담으로 다 메우고 있어!” 하는 비판도 나온다고.


오늘의 1분뉴스는 어땠나요? 더 궁금한 점이 생겼다면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by. 에디터 진 🐋
이미지 출처: ©전쟁과여성인권아카이브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