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M : 데이터 기반 마케팅 필살기
작성자 김용훈
GTM : 데이터 기반 마케팅 필살기

Preview
마케팅의 기초 'GA4와 UTM 핵심 편' 을 놓쳤다면?

A. 가능합니다. GA4와 UTM이 ‘유입’을 알게 해줬다면, GTM은 ‘행동’을 직접 추적할 수 있게 해주니까요. 이제 데이터로 고객의 행동을 읽고 퍼널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본 아티클은 매월 격주 화요일 19시 ‘김용훈 그로스 연구소 로로스클럽’ 강연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1. GTM이란 무엇인가요?
GA4와 UTM은 이제 익숙해졌지만, 실제 전환을 높이는 데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GTM(Google Tag Manager)은 여전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GTM은 이름 그대로 ‘구글 태그 매니저’로 웹사이트에 설치되는 여러 분석용 코드(태그)를 쉽게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인데요. 원래라면 고객의 행동을 추적하기 위해 개발자에게 코드를 요청해야 하지만 GTM을 활용하면 마케터 혼자서도 필요한 이벤트값을 직접 설정해 둘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회원가입 버튼을 눌렀는지,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다가 결제를 포기했는지, 페이지를 어디까지 스크롤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데이터로 기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로 GTM이죠. 즉, GTM은 유입만 알려주는 GA4의 한계를 넘어 고객 행동을 추적해 퍼널을 완성해주는 필수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UTM과 GTM의 차이점
많은 마케터들이 처음에는 UTM과 GTM을 같은 개념으로 생각할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 다 ‘코드’ 혹은 ‘추적용 태그’라는 단어가 붙다보니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역할은 완전히 다릅니다. UTM은 ‘어디서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꼬리표입니다. 광고 채널, 클릭한 링크, 캠페인명을 링크 뒤에 붙여서 GA4가 어떤 경로에서 방문자가 왔는지 정확히 구분하도록 하죠. 반면, GTM은 ‘방문자가 내 사이트 안에서 무슨 행동을 했는지’를 기록합니다. 어디서 들어온 사람인지 알려주는 UTM과 달리 사이트 안에서 어떤 버튼을 클릭했는지, 폼을 작성하다 말았는지, 스크롤을 어디까지 내렸는지 같은 행동을 하나하나 트래킹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UTM은 ‘방문 경로 추적’ GTM은 ‘행동 데이터 추적’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죠. 이 두 가지를 모두 갖춰야 유입만 아는 반쪽짜리 데이터가 아니라 ‘어디서 왔고, 와서 뭘 하고 떠났는지’까지 연결된 전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
3. GTM을 쓰면 마케팅 데이터가 달라지는 이유
사실 GA4와 UTM만으로도 ‘어떤 채널을 통해 몇 명이 들어왔는지’는 꽤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메타 광고를 클릭한 고객이 우리 사이트에 몇 명이나 들어왔는지, 카카오 메시지 링크를 누른 방문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UTM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죠. 하지만 정확한 효율을 따져보려면 이것 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우리는 그 방문자들이 사이트 안에서 무엇을 했는지, 페이지를 어느 구간까지 읽고 나갔는지는 GA4와 UTM만으로는 알 수 없으니까요. 이 부분을 메꿔주는 것이 바로 GTM입니다.

만약, GTM으로 ‘회원가입 버튼 클릭’을 이벤트로 설정해두면, GA4 보고서에서 ‘메타 광고 클릭 → 회원가입 시도 → 구매 여부’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덕분에 방문자 수만 보고 감으로 추측하던 마케팅에서 벗어나 ‘어디서 이탈이 발생했는지,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를 행동 데이터로 근거 있게 찾아낼 수 있는 것이 GTM을 사용하는 가장 큰 장점이라고 꼽을 수 있겠습니다.
4. GTM을 처음 쓸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처음 GTM을 배우면 모든 클릭을 다 잡아야 할 것 같아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진다면 아래 2단계를 먼저 실행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무엇을 추적할지 목표를 정한다
가장 중요한 핵심 행동부터 시작해보세요. 회원가입, 장바구니 담기, 구매 버튼 클릭 등 KPI에 직접 연결되는 행동만 먼저 잡아도 충분합니다.
GA4에서 데이터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실제 행동이 발생했을 때 GA4에서 이벤트가 제대로 잡히는지 확인하세요. 실 매출과 대조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은 필수입니다.
● 요약
UTM은 유입 경로의 꼬리표이고, GTM은 사이트 행동을 기록하는 CCTV다. GA4 + UTM + GTM을 모두 써야 퍼널이 완성된다.
링크를 만들 땐 UTM을 붙이고,
가장 중요한 행동 이벤트 하나부터 GTM으로 설정하여
GA4에서 행동 데이터가 정확히 수집되는지 확인하고,
실매출과 대조해 정확도를 높인다면
데이터는 마케터의 가장 든든한 무기가 되어줄 것입니다. 이제, 여러분의 차례입니다. 데이터를 무기로 근거있는 마케팅 액션을 도출해보시기 바랍니다.
폭발적인 성장과 J커브를 빠르게 달성하고 싶다면? ▶︎ 김용훈 그로스 연구소 컨설팅 상담하기
핵심 가득 실무 마케팅을 배우고 싶다면? ▶︎ 로로스 클럽 사전 신청하기
스마트 스토어 마케팅 전략이 막막하다면? ▶︎ 7월 8일 특별 강연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