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미친X가 되야 하는 이유(부제: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방법

작성자 김용훈

회사에서 미친X가 되야 하는 이유(부제: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방법

김용훈
김용훈
@leviyonghun
읽음 183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사건의 발단

지극히 평범한 어느 평일 오후. 사건 현장은 강남역 부근에 위치한 oo회사 마케팅 팀의 사무실에서 일어났다. 피해자 김oo 양의 증언에 따르면 평균 일주일에 한 번씩 일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극도의 스트레스를 동반하며 일을 노잼으로 만들어 버린다고 하는데.. 그럼 본격적으로 사건 현장을 들여다보자.

어느날 피드에 떴지만 공감이 많이 되었던 문구들


사건 현장을 바라보다.

흔히 있는 사건이다. 아마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일 것이다. 엄마와 중2 딸의 갈등만큼이나 회사의 마케팅 직원과 대표에게 있어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의 일부분. 이 사건을 미뤄 짐작을 해보면 앞으로 일어나는 일은 이럴 것이다.

1) 대표님이 요청한 느낌으로 콘텐츠 제작 시작

2) 갑툭튀로 온 일이기에 의지▼ 품질▼ 대신 빨리 처내버리고 싶은 마음▲

3) 만든 콘텐츠가 터져도 문제 "봐봐 내가 뭐랬어. 이렇게 하니깐 되잖아"_대표님왈

4) 만든 콘텐츠가 안 터져도 문제 (이건 그냥 문제)

5) 그리고 반복. 노잼 양산형 콘텐츠만 업로드

그런데 이와 같은 사건을 대표님 에게만 떠 맡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 왜냐면 그분들은 정말 회사가 잘 되기를 바라고, 먼저 제안을 해주신 것이고, 제안을 해주신 광고는 누가 봐도 좋은 광고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대표님이 요청한 광고가 비록 기존에 만들었던 우리의 브랜드 컨셉과 다를지언정, 제작자가 몇 날 며칠 고민하고, 수집하며 그 콘텐츠를 만들었든 간에 우리는 아마 대표님이 요청하신 것을 만들 것이다. 왜냐?

"우리는 한낱 직원에 불과하고, 대표님은 우리에게 월급을 주는 존재니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사진출처=백종원 유튜브 갈무리.
백종원 같은 마인드+전문성을 갖춘 대표님은 흔치 않다.

사건 예방법

그럼 이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이 있을까? 물론 있다. 언제나 늘 생각하는 부분이지만 우리는 마케터라는 직무의 전문가로 회사에 채용되었으며 그럼 이 전문 영역에 있어서

"이 구역의 미친x이 되어야 한다"

즉 자기 분야에 있어서 자부심을 갖고 맞으면 맞다! 틀리면 틀리다! 라고 말하며 책임감을 갖고 일을 해야 한다. (그 상대가 아무리 대표님이라도) 어떤 미친x이 대표님 지시사항에 토를 달겠는가?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사건은 종결되지 않고, 퇴사 전까지 스트레스를 받으며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우리의 명함에는 회사명과 이름, 그리고 본인이 맡고 있는 포지션이(혹은 팀) 적혀 있을 것이다. 일을 하는 것에 있어서 나름 인정을 받았기에 그 명함에 본인의 이름이 올라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의 사무실에는 명패와 명함이 함께 붙어있다. 아직도 어색한 대표 타이틀.

나 역시도 마케팅이라는 분야 안에서는 나름 전문가라 생각한다. 그러기에 현재 나의 타이틀에 먹칠이 되지 않도록 내가 컨설팅하는 회사에 최선을 다하며 무엇보다 위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가끔 미친x이 되곤 한다. 어찌 되었든 위 사건에서 결과의 책임은 고스란히 나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좀 더 본인이 원하고, 확실하다 생각되는 일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책임은 어차피 내 몫 이니깐.

참고로 이런 깡다구(?)를 부리기에 앞서서 한 가지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현재 직무에 있어서 후달리면 안 된다."

천하의 아귀도 후달리게 만드는 고니(화투전문가)

즉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져야 된다. 생각해 봐라. 이제 막 온 신입이 저렇게 미친x이 되어서 자기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면 어떨지. 아마 그 신입보다는 필드에서 몇 년 계셨던 대표님 마케팅을 더 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하튼 신뢰받을 수 있는 전문성을 갖기 위해서 우리는 (미친x이 되기 전에 우리는)

1) 관련된 전문 지식과 경험을 쌓고,

2) 그것을 대표님께 잘 보이도록 어필하며

2) 사전에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고, (혹은 입사 전)

3) 가성비 좋은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이력이 있으며

4) 이것을 바탕으로 빵빵 터질 것 같은 캠페인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면 된다.

적다보니 결론이 나온것 같다.

매번 할아버지를 팔아버리는 김전일이 아닌 본인의 이름을 걸고.


폭발적인 성장과 J 커브를 빠르게 달성하고 싶다면? ▶  김용훈 그로스 연구소 컨설팅 상담하기

마케팅의 기초부터 실전까지 배우고 싶다면? ▶ 마케팅 프레임 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