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절약 방법💰 실생활 절약 5계명을 지켜보세요!
작성자 혼삶레터
호니의 1인가구 가이드 ✅
생활비 절약 방법💰 실생활 절약 5계명을 지켜보세요!

⬇️ 매주 화요일 1인가구에게 유용한 소식을 무료로 받아보세요!
경기불황, 물가상승으로 1인가구의 지갑이 얇아지고 있어요.
욜로(You Only Live Once)가 아닌 요노(You Only Need One) 시대가 되면서 필요한 것만 소비하는 것이 미덕이 되는 시대가 됐는데요.
하지만 이것도 필요한 것 같고, 저것도 필요한 것 같아요. 대체 실생활에서 무엇을 절약해야 할까요?
1. 장기계약을 피하자
새해를 맞이하면서 자기계발을 위한 도전을 시작하는 경우가 늘어나요. 이때 평생 수강권, 1년 이용권 등 오랫동안 유지되는 계약은 피하는 게 좋아요.
장기 계약은 높은 할인율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당장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몇 번 가다 말거나 수업을 꼬박꼬박 듣지 않는다면 정가를 주고 단기 계약을 한 것보다 손해가 될 수 있어요.
그리고 꼭 돈을 들여야만 하는 수업인지도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해요. '돈을 쓰면 하겠지'라는 생각은 의지를 돈으로 메꾸는 것임을 생각해야 합니다.
2. 생활비 예산 세우기
1인가구 생활에서 생활비를 관리는 가장 힘든 일이에요. 전문가들은 월소득 대비 생활비 지출 비중을 30% 이하로 정해둘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
먼저 식비 절약의 중요한 포인트는 먹는 것에 금액을 맞추기보다 금액에 맞춰 먹는 것입니다.
또 커피 테이크아웃을 하루 1잔만, 배달이나 외식은 주 3회까지만이라고 규칙을 정해둔다면 식비 지출 관리가 보다 수월해져요.
특히 예산에 맞춰 생활하려면 급하게 구매하는 일을 줄여야 해요. 미리 준비하면 될 것을 시간이 촉박해서 불필요한 소비를 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늦잠을 자서 급히 택시를 가거나, 집들이를 갈 때 미리 선물을 준비하지 않으면 급하게 오프라인으로 더 비싼 가격으로 사서 가야 하는 것 등을 말해요.
3. 이벤트, 선물 비용은 3% 제한하기
친구나 지인 간에 선물을 주고 받을 때도 가격대를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은데요.
월 소득의 3% 정도가 선물이나 이벤트 비용에 적합해요. 연인 간이라도 비싼 선물을 주고 받다 보면 양쪽 다 경제적 부담에 쌓일 수밖에 없어요.
만약 이미 이런 굴레에 갇힌 분들이라면 연인과 솔직한 대화를 가지고 다시 개념을 정립하는 시간이 필요해요.
4. 여행, 취미생활도 예산에 맞추기
너무 절약만 하면 쉽게 지칠 수 있으니 여행, 취미생활도 필요한데요.
문화·레저비는 월소득의 10% 이하, 여행은 연소득 5% 이내로 지출하는 것을 목표로 잡아보세요.
1년 중 여행지에서 보내는 기간이 보통 2~3% 정도라고 하는데, 이 기간 동안 연소득 5%만 지출해도 플렉스라고 볼 수 있어요.
5. 보여주기식 소비는 지양하기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요. 남한테 어떻게 보일지 생각하지 않고 나 자신에 집중해서 소비를 하는 것이 중요해요.
어울리지 않는 유행템이나 기능 보다 외관을 더 중요시한 제품 등 보이는 것에 대한 소비를 줄이면 절약을 할 수 있어요.
계절마다 옷을 사는 습관이 있다면 그건 이제부터 자제하는 것으로 해요.
있는 옷을 최대한 활용하고, 새로운 옷을 꼭 사야 한다면 유행을 타지 않는 옷을 선택해보세요.
ⓒ혼삶레터
⬇️ 매주 화요일 1인가구에게 유용한 소식을 무료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