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일 VS 잘하는 일, 이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것

좋아하는 일 VS 잘하는 일, 이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것

작성자 시계꽃

Dear My Future

좋아하는 일 VS 잘하는 일, 이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것

시계꽃
시계꽃
@chosikdino
읽음 1,575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 그 좋은 학교를 나와서 가수를 한다고?

서울대 공대 학사.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석사.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생명공학 박사. 당연히 제 학력은 아니고 가수 루시드 폴의 학력입니다. 일명 엄친아 가수로 유명한 그의 이력을 처음 들었을 때 솔직히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스위스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따고 미국에 특허까지 출원했다는데, 한국에서 가수를 한다고?! 도대체 왜?!'

당시 저만 이런 생각을 한 게 아니었나 봅니다. 2009년 한 방송에서 그가 “앞으로 공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하자, 진행자가 놀라 물었다고 해요. 그동안 공부한 게 아깝지 않냐고. 루시드 폴은 “그동안 공부를 열심히 했으므로 공부와의 인연은 여기까지”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15년이 지난 2024년, 현재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여전히 학벌주의 색채가 강한 한국 사회에서 루시드 폴의 행보는 독특하고 별난, 혹은 아무나 할 수 없거나 비현실적이라는 인상을 줍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합리적 이성을 총동원한 결과, A가 맞는데 이상하게 자꾸 B로 마음이 기운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지 않으세요? 그 이유는 우리가 논리로만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본인의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경험은 무엇인지 서술하세요

꼴도 보기 싫은 지긋지긋한 자소설(!) 문항. 괴로웠던 취준생 시절을 되살리기 위해 가져온 건 아니고요. 가치관은 이성, 논리가 아닌 감성, 경험에 기초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또 다른 축인 가치관은 누가 설득한다고 해서 혹은 어떤 책을 읽는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형성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살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 즉 몸으로 부딪쳐 체화한 통찰이 가치관이 되는 셈이죠.

🧐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나요?”보다 먼저 생각해 봐야 할 것

우리가 진로 고민을 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질문은 아마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일 거예요. 정말 중요한 질문인 동시에 사람마다 모두 다른 대답이 존재하는 질문이지요. 하지만 저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고민하기 전에 먼저 나의 직업 가치관을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돈이 최고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치관을 이렇게 강조하는 이유는 직업 가치관이 직업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퇴사 브이로그 주인공들의 단골 멘트 “연봉 XXXX의 대기업을 퇴사한 이유”를 들어보면 열에 아홉은 '내가 생각한 업무, 환경, 삶과 맞지 않아서'일 거예요. 돈이 주는 만족도를 무시하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금융치료로 '인간'이라는 복잡한 생명체를 움직이게 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는 것이죠. 우리는 영혼을 가진 존재이니까요.

직업 가치관은 사회적 공헌, 변화지향, 성취, 경제적 보상, 자기개발, 일과 삶의 균형, 사회적 인정, 자율성, 직업 안정 등 크게 9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 나에게 가장 중요한 상위 가치 3개 정도를 뽑아 그것을 기준으로 진로의 방향을 삼아 보세요.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흐릿했던 길이 의외로 명확해집니다. 또한 직업 가치관은 퇴사 혹은 이직 시에도 가이드라인이 되어줄 수 있어요. 하단 참고 자료에 무료 직업 가치관 검사 링크를 첨부해 두었으니 5분 정도만 짬 내서 한번 해보세요! 여러분의 동기부여를 위해 저의 결과를 공개합니다 😉

이 검사에서 자기개발은 성장을 의미합니다 :) 출처 - 워크넷
이번 생에 부자되긴 글렀...😂 출처 - 워크넷

저는 운이 좋게도 상위 가치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직무로 첫 사회생활을 시작했는데요. 처음부터 그걸 알고 그 직무를 선택한 건 아니었습니다. 연봉 2,000에 반지하 사무실. 여기까지만 들어도 '헉!' 싶지만, 4번의 회사 생활을 통틀어 이때가 가장 행복했었고 또 가장 오래 다녔었답니다(그래도 세상의 기준에서는 아주 짧아요^^;). 다음 아티클에서 경험담을 자세히 풀어 보겠습니다. :)


🔎 참고 자료

* 박사가수 엄친아’ 루시드폴 “공부 이제 그만, 음악에만 전념

**직업가치관, 직업선택에 영향

***워크넷 성인용 직업가치관 검사(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