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어휘] 소급: 히스토리를 파악하라
작성자 북렌즈
일잘러를 위한 문해력, 어휘력 처방전
[비즈니스 어휘] 소급: 히스토리를 파악하라

팀장: 연차 관련 규정이 바뀌었습니다.
매니저: 확인하겠습니다.
팀장: 눈치 보지 말고 연차 사용하세요.
매니저: 바빠서 연차 못 쓰고 있어요.
팀장: 연차 미사용 수당은 소급하여 지급됩니다.
매니저: 네? 소여?
ㅡ 혹시 이런 뜻?
연차 수당을 적은 금액부터 준다는 의미구나.
이전 연차 수당도 바뀐 규정 적용해서 준다는 의미구나.
ㅡ 정말 이런 뜻!’
소급(遡及)은 거스르다 ‘소(遡)’, 미치다 ‘급(及)’이 합쳐진 말로 과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미치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소급 적용’이란 말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계약이나 정책이 이전 시점부터 효력이 생기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말해요. 법률적으로는 새롭게 제정된 법률이나 규정이 과거에 발생한 사건에까지 적용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세금 관련 법이 만들어졌을 때, 이 법이 소급 적용된다면 과거의 세금 관련 문제에도 적용하는 것입니다. 그럼 추가로 세금을 더 내야 할 수도 있고, 낸 세금 일부를 돌려받을 수도 있겠죠.
ㅡ 이렇게 활용하세요!
*최저시급 인상에 따라 월급을 소급하여 지급하겠습니다.
*완화된 세율을 바탕으로 이자를 소급 적용할 계획입니다.

히스토리를 파악하라
새로운 회사에서 보안에 굉장히 민감한 겁니다. 보안은 중요한 것은 알지만 업무가 너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었어요. 외부 USB 접속 방지는 기본이고, 오직 내부 메신저만 사용해야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 메신저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네트워크를 막아 두었어요. 외부 업체와 소통해야 할 일이 많은데, 너무 불편해서 짜증을 냈어요. 그랬더니 오래 다닌 직장 동료분이 히스토리를 설명해 주었습니다.
예전에 랜섬웨어 감염되어서 회사가 크게 고생한 적이 있다고 했어요. 그리고 대표님이 지나가시다 업무 시간에 외부 메신저로 시간만 때우는 사람을 직접 목격하고, 전원 금지를 시켜서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고요. 그 이야기를 들으니 조금 이해가 갔습니다.
새로운 일터에서 다른 사람이 하던 일을 이어받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왜 일을 B 방법으로 하지?, 너무 비효율적인데? A 방법으로 하면 되는데?” 하지만 알고 보면 다 사연이 있더라고요. 효율적인 A 방법으로 했었는데, 어떤 사고가 나서 B 방법으로 바뀌었다거나, 상사 분이 B 방법을 선호한다거나, 회사가 어떤 관련이 있다거나, 제도적인 문제가 있다거나… 등등 나름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비난하거나 불평하기 전에 우선 그 히스토리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세요. 관심 있는 나라의 역사를 공부하듯, 그 조직의 역사에 관심 갖는 태도도 소중합니다.
히스토리를 무조건 따르라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파악한 후에 바꿀 수 있는 부분인지 아닌지는 다음 단계로 고민해요. 상황적 맥락을 보았을 때 이해가 되어 순응할 것인지,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제안을 할 것인지 선택이 필요해요. 지금 새로운 기술이 발달했고, 상황도 달라졌으니 업무 방식도 바뀔 필요가 있다면 건강한 제안을 하면 됩니다. 과거 문제의 재발 방지도 중요하지만, 미래를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니까요. 둘 다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