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글의 뼈대, 구조 파악하기
작성자 북렌즈
일잘러를 위한 문해력, 어휘력 처방전
[문해력] 글의 뼈대, 구조 파악하기
글과 집의 공통점, 구조의 중요성!
.
글은 집에 종종 비유되곤 합니다. 글쓰기는 집을 짓는 과정과 같죠. 집을 지을 때 큰 기둥을 세우고 전체 틀을 구성한 다음에 세부적인 작업을 합니다. 글쓰기도 마찬가지예요. 처음에 구조적인 틀을 짜고 시작합니다. 내용도 중요하지만 어떤 틀에 담아서 전달할지도 중요하니까요. 시간 순서대로 나열할지, 원인과 결과의 과정으로 구성할지, 두 대상을 비교해서 체계적으로 설명할지,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책을 모색할지 등등. 독자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글을 이해하는데 이 구조를 찾으면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고, 다음 내용을 예측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글의 구조를 그림으로 표현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해 살펴보겠습니다.
.
논문 참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김승연, 2015)
.
.
두괄식과 미괄식
.
대표적인 글의 구조는 두괄식과 미괄식이 있습니다. 한 문단이 한 주제를 다루는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의 조화라고 보았을 때, 중심 문장을 어디에 두느냐의 차이입니다. 중심 문장에 밑줄을 긋는다고 했을 때, 그 위치가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구조를 이해하면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파악할 수 있어요. 요즘은 인내심(?)이 부족한 독자들을 위해 두괄식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오한 글들은 그 중심 메시지를 뒷부분에 감추어 두기도 해요.
.
두괄식 문단의 두괄은 머리 두(頭), 묵을 괄(括) 자를 써서 머리에 묶어둔다는 의미입니다. 즉, 중심 문장을 문단의 맨 앞에 두는 방식이에요.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좋은 방법입니다.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바쁜 현대인들이 말하기/글쓰기에서 좋아하는 구성이에요. 읽는 입장에서 내용 파악하기 친절한 글입니다. 대신 앞에만 집중해서 읽고 뒤에는 대충 읽다가, ‘비판적 읽기’에서 고생할 수도 있습니다.
.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미가 있습니다. 어제 빨간 장미를 보았고, 그저께 하얀 장미를 보았습니다. 동물원에서는 노란 장미를 전시하기도 했어요. 외국에선 장미박람회도 열렸다고 합니다.
.
미괄식 문단의 미괄은 꼬리 미(尾), 묵을 괄(括) 자를 써서 꼬리에 묶어둔다는 의미입니다. 즉, 중심 문장을 문단의 맨 뒤에 두는 방식이에요. 차근차근 이해 및 설득의 과정을 거치며 뒷부분에 있는 중심 메시지를 강조하기 좋은 방법입니다. 기승전결을 통해 긴장감을 유지하며, 극적인 효과를 주는데 유용해요. 독자는 앞부분에서 방심했다가 뒷부분의 중심을 놓칠 위험이 있으니 긴장감을 유지해야 합니다.
.
어제 가족들과 동물원에 갔는데, 노란 장미를 보았습니다. 세상에는 빨간 장미만 있는줄 알았는데 말이에요. 심지어 안쪽에는 장미정원이란 곳도 있었어요. 하얀 장미, 파란 장미, 검은 장미 등등 아름다웠어요.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장미가 있어요!
.
기술 · 집합 구조
.
.
이 구조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메인 주제를 찾는 것이 포인트고, 그 주제를 어떻게 설명하고 전달하는지 차근차근 파악합니다. 지구에 대해서 설명한다고 하면, 자유롭게 생각과 특징을 나열하는 경우도 있고, 카테고리를 정해 면적, 역사, 위기 등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첫째, 둘째, 셋째… 나 ‘예를 들면’, ‘정리하면’, ‘크기는’, ‘성격은’ 등의 카테고리 표지어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어요.
.
.
주장 · 근거 구조
.
이 구조는 글쓴이의 주장과 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로 이루어집니다. 기술 집합 구조가 주제를 중심으로 한 나열과 정리에 초점을 두었다면, 주장과 근거는 뚜렷한 목적 관계로 형성됩니다. 예시, 통계, 사례 등등 여러 전략으로 나타나는 근거는 주장을 뒷받침해주지 못하면 존재의 의미가 없어집니다. 그래서 타당한 근거인지, 논리적인 전개인지 점검하고, 일관된 주장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
비교 · · 대조 구조
.
이 구조는 비교-대조, 내용 간의 유사점이나 차이점으로 이루어집니다. 특정 대상의 특징을 단순하게 비교 분석하거나 더 좋은 선택을 위해 후보들을 경쟁시키는 도구로 활용하는데 주로 쓰입니다. 이런 글은 표를 활용해 내용을 정리하면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겉으로는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하려고 하지만, 그 안에서 더 강조하는 대상이 있을 수 있으니, 공정한 비교와 대조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시간 순서 구조
.
이 구조는 사건이 진행된 시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내용이 전개되는 순서를 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을 나타내는 표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오늘, 이튿날, 그 후에 등등. 상황이 일어나는 과정을 머릿속에서 그려 가며 읽으면 좋습니다. 간혹 순서를 뒤섞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의도를 파악하며 재정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
.
원인 · 결과 구조
.
이 구조는 원인-결과, 논리적인 인과 관계로 이루어집니다. 시간 순서와 비슷해보이지만 다릅니다. 두 사건의 관계가 명확하게 입증되어야 하니까요. “왜~”, “~때문에”, “그러한 이유로” 등의 표지가 자주 쓰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문제의 원인들이 앞에 나오고, 그 원인에 의한 결과를 뒤에 배치해요. 반대로 결과(현재 상황)를 먼저 제시하고 그것의 원인들을 하나하나 밝혀 나가는 방식도 있어요. 이런 글은 둘의 관계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지 판단하며 읽어야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