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8일
작성자 allreview
금주의 한-탄
2024년 10월 28일

[2024년 11월 첫째 주]
나태주 <지금도 네가 보고 싶다> 中
이 시의 제목은 11월입니다.
진짜 11월입니다. 한기와 온기가 뒤엉키는 하루에서 눈을 바짝 치켜들어 봅니다.
깜빡, 깜빡, 깜빡. 마우스 커서와 같은 속도로 눈을 깜빡여봅니다.
신기하게도 마음이 조금 안정됩니다.
이제 손을 움직여 글을 써봅니다. 한 글자씩. 천천히.
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2024년 10월 28일(월), 퇴근 후 집에 가는 길에 우연히 비가 왔습니다. 정말 미세하게 똑똑 떨어지는 빗방울을 맞으며 집에 가려다가 방향을 돌려 곧장 이태원역으로 갔습니다. 차마 10월 29일(화)에 갈 용기는 없었습니다. 퇴근 지하철엔 사람들이 콩나물처럼 빽빽했습니다. '혹시 나처럼 이태원역에 가는 사람이 있을까' 생각하는 것도 잠시. "죄송합니다. 내릴게요."라는 말과 함께 탄 사람들을 뚫어내야 했죠.
한 어르신께서 머리에 헬멧을 쓴 채 인파 관리를 하고 계십니다. 아니, 헬멧을 머리에 얹은 채로 멀찍이 사람들을 멀뚱멀뚱 바라보고 계십니다. 눈이 마주치자 제게 말씀하십니다. "이 짝(쪽)으로 올라가요오~" 어디로 간다는 말씀을 드리지 않았는데. 하긴 화장실도, 출구도 모두 위에 있겠지. 여긴 목적지가 아니라 경유지니까.
6호선 이태원역에 도착해 열차에서 내리면, 출구까지 꽤 높은 계단을 올라야 합니다. 길게 뻗은 에스컬레이터에 올라타 마음의 준비를 합니다. 일단 이어폰을 집어넣고, 주위 소음에 집중합니다. "벌써 2년이래. 미친." 이따금 욕설이 따갑게 들이칩니다. '맞아. 벌써. 2년 전엔 내가 이렇게 살 줄 몰랐지. 2년이란 시간은 군 입대 후 전역까지 소요되는 시간이지. 갓 태어난 아이가 '엄마', '맘마' 같은 말을 따라 하는 시간이지.'
1번 출구에 나오자마자 본 풍경은 너무나도 일상적이었습니다. 풋라커와 러시 가게에선 상품을 팔기 바쁩니다. 그 앞으로 딱 열 한 걸음을 내딛으면 골목에 도착합니다. 마침내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입니다.
그들도 사람들을 뚫어내야 했고, 경유해야 했고, 이럴 줄 몰랐을 텐데.
SBS 기자 1명이 리포트를 달달 외우고 있었습니다. "2년 전 참사가 났던 골목.. 2년 전 참사가 났던 이 골목.. 큼큼.. 1년 전부터 추모 작품들이.. 추.모... 추모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기자는 골목을 촬영합니다. 스님 한 분이 목탁을 두들깁니다. ".... 다음 생엔..." 초라해진 골목길엔 이제 번쩍이는 조형물과 이마트 24가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추모 작품에 써져 있는 글을 정독합니다.
마지막 문장을 계속 읽으며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날의 기억
'부디, 모두의 오늘이 안녕'이라는 말은 생선 가시처럼 목에 걸립니다. 그리고 JTBC 오대영 전 앵커가 마지막으로 남긴 그 말(20221111 JTBC 뉴스룸)을 기억해 냈습니다.
모두가 오대영 앵커의 마지막 멘트는 뭘까 안달 내기를 수 차례. 방송 화면이 아닌 스튜디오에서 직접 이 말을 들었습니다. 굳이 '안전'이라는 말이 들어가 있었습니다. 태풍 힌남노와 신당역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이 발생했고, 카카오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까지 이어지는 등 사건사고가 연이었기 때문일까. 왜 안전이라는 말이 다시 등장한 걸까.
그 이후 뉴스룸을 진행한 박성태 전 JTBC 앵커에게서도 그날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처음엔 안 믿었지. 새벽에 모니터로 150명 딱 찍히는 순간, 다시 알아보라고 했어. 맞대. 150명 압사가. 어우..."

한 기자는 제게 "새벽 내내 눈물이 멈추질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참사 다음날부터 언론사에 쏟아지는 적나라한 제보 사진과 영상은 아수라장이라는 표현도 부족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태원을 찾은 건 참사 며칠 뒤입니다. 수많은 국화꽃과 포스트잇으로 뒤덮였던 거리는, 이제 찾아볼 수 없습니다. 골목을 막은 펜스도, 삼엄한 경찰도 보이지 않습니다. 텅 빈 일상만이 자리 잡았습니다.

4학년 정보사회학과 마지막 리포트 주제는 '반복되는 참사의 역사'였습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2014년 세월호 참사, 2022년 10.29 이태원 참사까지 약 10년 주기로 반복되는 참사를 되짚어 보자는 취지였습니다. 전국재난참사피해가족연대가 발족하기 전까지 준비 과정이 필요해 유가족 인터뷰를 진행할 수 없어 과제는 엎어졌습니다. 그러니 제겐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주제입니다.
반복되는 참사
어쩌면 이건 '우리 사회'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주제입니다. 정준희 교수님의 말(20241024 씨네21 <정준희의 closing: 어느 부끄러운 사회과학자의 소심한 축사>)을 빌리자면, 답이 없는 건 아닙니다. 역량이 없거나, 비겁해서 답을 내지 못할 뿐이죠.
(deus ex machina든 뭐든) 누군가 이 답을 찾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왜 우리는 참사를, 참사 뒤에 아픔을, 아픔 뒤에 공허함을, 공허함 뒤에 참혹함(신형철 <눈먼 자들의 국가> 中)을 반복할까요.
10.29 이태원 참사는 단순히 10월 29일에 발생하고 끝나지 않았습니다. 참사에서부터 참혹함까지 이어지는 그 모든 과정이 참사입니다. 가수 윤종신이 썼던 노래 제목처럼 '한 번 더 이별'하는 것까지 겪어야 진짜 이별이라고 하는데, 아직 그럴 수 없습니다. 여전히 아리고 슬픕니다. 이태원 참사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그래서 오늘도 소환할 수밖에 없는 정혜승 작가의 책 <정부가 없다>.
우리는 여전히 10.29 이태원 참사를 매듭짓지 못했습니다.
오늘의 사족입니다.
신형철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