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매니징이 정말 나쁘기만 해?
작성자 에디
리더의 일과 고민
마이크로매니징이 정말 나쁘기만 해?
디테일을 추구하는 것과 마이크로매니징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매니징을 하는 사람과 매니징을 받는 사람 양쪽의 입장에서의 차이와 생각과 경험에서의 차이에서 어떠한 케이스는 디테일이 되고 어떠한 케이스는 마이크로매니징이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조직의 리더가 마이크로매니징을 한다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매니징이라는 말을 언급하는 순간부터 리더는 무언가 나쁜 리더로 인식되는 분위기가 존재하죠. 개인적으로는 일을 잘 진행하기 위한 측면에서 디테일을 위한 매니징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조직은 목표를 가지고 움직이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고 다시 계획과 실행, 평가를 반복하며 업무를 수행합니다. 하나의 업무가 온전히 잘 돌아가기 위해서는 업무를 수행하는 목적과 목표가 리더와 구성원이 합치가 되어야 하고, 그 진행 과정에 대한 동기화가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동기화는 생각보다 디테일 한 부분에서 잘 어긋납니다. 큰 틀에서 가야 할 방향을 이야기 나누었고 얼라인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 실행에 있어 디테일은 생각이 달랐던 경험을 한 번씩은 해보셨을 거예요.
이해가 다를 때 리더는 더 많은 부분에 대해서 질문을 할 수밖에 없는데, 구성원 입장에서는 이 부분이 마이크로매니징으로서 부정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사전에 협의했더라도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각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매니징은 수시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데 말이죠.
일의 진행 전 이러한 핏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이라는 것이 컨텍스트와 이해관계, 수행 과정에서 습득하는 새로운 고려 사항 등 복합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진행 과정에서 변수와 변화를 계속 맞추는 디테일은 부정적인 매니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마이크로매니징이 부정적인 케이스라면 제 기준으로는 일의 완성도에 대한 매니징인가 아닌가 입니다. 이 역시 미세한 차이겠지만 일의 완성도에 대한 매니징은 접근하는 방법과 결과물, 해석 등 실무를 수행하는 입장에서 고려하지 못 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매니징은 줄 바꿈이나 텍스트의 축약, 정해진 보고서에 대한 매니징이라고 봅니다.
보고를 받는 입장을 고려하여 보고해야 하는 것도 무척 중요한 일이지만, 보고의 목적이 조금 더 나은 의사결정이라면 콘텐츠의 퀄리티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용어가 주는 부정적인 의미를 벗어나 어떤 맥락에서 상호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돌아보고, 어떠한 부분에서 매니징의 정도가 조정이 필요한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풀어가는 문화가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