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장애 문제와 원인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섭식장애 문제와 원인

다이어트는 내일부터!’, ‘맛있게 먹으면 0칼로리!’ 이런 농담 많이 들리잖아요. 그만큼 식단을 조절하는 다이어트가 일상적이라는 뜻인데요. 하지만 체중 감량에 대한 압박이 너무 커지면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바로 음식을 먹는 데 문제를 겪는 섭식장애예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섭식장애 인식주간’이 오늘(24일)부터 3월 2일까지 열리는데, 이를 맞아 섭식장애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정리해봤어요.
섭식장애, 들어는 봤는데 정확히는 잘...
섭식장애는 심리·정신적인 문제로 음식을 섭취하는 데 문제를 겪는 모든 질환을 말해요. 음식을 먹는 걸 거부하는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이나 엄청나게 많이 먹는 ‘폭식증(신경성 대식증)’이 대표적이고요. 이 밖에도 음식을 먹으면 심한 죄책감에 빠지거나, 음식을 먹은 ‘벌'로 억지로 토하거나 무리하게 운동해본 적이 있다면 섭식장애는 아닌지 살펴볼 수 있어요.
비슷한 고민 해본 적 있어
섭식장애는 특히 젊은 여성들에게 많이 일어나요. 섭식장애 환자의 숫자는 여성이 남성의 4배고, 2명 중 1명은 10~30대예요. 최근에는 특히 10대 여성 사이에서 프로아나(Pro-ana)라는 이름으로 거식증을 지지하는 흐름까지 생기고 있어요. 그 이유를 살펴보면:
-
마른 몸만 보여주는 미디어: 미디어에는 보통 정상 체중이거나 그보다 마른 몸의 여성만 나오잖아요. 뚱뚱한 몸의 여성은 부끄러워하거나 놀림받는 모습으로 많이 나오고요(=Fat shaming·팻 셰이밍). 이런 콘텐츠를 접하다 보면 ‘나도 저렇게 말라야 해’라는 강박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
소셜 미디어의 발달: 전에는 TV·잡지에 나오는 연예인 등으로 한정됐다면, 최근에는 SNS로 언제 어디서든 연예인뿐 아니라 주변인의 몸에 관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어요. 이에 ‘눈바디’, 바디프로필 등을 공유하며 몸에 대한 강박을 주고받기 더 쉬워졌고요.
-
강박을 부추기는 산업구조: 다이어트 보조 식품, 다이어트 코치 같은 미용 산업도 마른 몸에 대한 강박을 부추겨요. 2018년 기준 우리나라 다이어트 시장의 규모는 약 10조 원. 마르지 않은 몸을 치료할 문제로 보는 분위기가 퍼져 있는 거예요.
근데... 그렇게 심각한 문제인가?
‘그냥 다이어트 좀 빡세게 하는 거 아냐?’ 하고 넘기기에는 좀 심각해요. 실제로 섭식장애는 정신질환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을 정도로 위험한 질병이거든요. 섭식장애로 인해 뇌 신경망에 이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섭식장애가 더 심해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기 때문. 여성의 경우 섭식장애의 영향으로 무월경·난임을 겪기도 해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섭식장애를 예방·완화하려면 규칙적으로 끼니를 제대로 챙겨 먹고, 자신의 컨디션을 살피는 식사일기를 써보는 것 등도 도움이 되는데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누구든 식단을 관리하고, 살을 뺄 수 있다’는 식의 멘토링 콘텐츠가 많아지면서, 섭식장애도 개인의 의지에 달린 문제인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요. 섭식장애는 전문가와 상담 및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에요.
-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해요: 섭식장애는 ‘허영심’ 혹은 ‘예뻐지고 싶은 마음’으로만 생긴 게 아니라, 뚱뚱한 몸을 혐오하는 분위기에 얽혀 있는 사회 문제예요. 섭식장애에 대한 나라의 관리와 지원도 필요하고, 무엇보다 마른 몸 강박을 만드는 사회 분위기도 바뀌어야 해요.
+ 섭식장애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졌다면
-
비만치료용 식욕억제제, 이렇게 막 처방한다고? (11분) 🎬: 틱톡에서 유행처럼 퍼진 식욕억제제의 부실한 처방 과정과 부작용을 영상으로 담은 닷페이스 다큐멘터콘텐츠예요.
-
미스 아메리카나 (85분) 🎬: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다큐멘터리로, 섭식장애 경험을 밝혔어요. 레이디 가가 같은 동료 연예인들도 섭식장애를 겪은 적 있다며 그를 응원했어요.
-
팻-비만과 집착의 문화인류학 📚: 이 책은 여성에게 뚱뚱함이 아름다움이 아니라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말해요. 뚱뚱함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기나 철학적인 고찰이 담겨 있어요.
-
나는 아이돌 데뷔도, 섭식장애 탈출도 실패했다 📄: 아이돌 데뷔 과정에서 겪은 섭식장애 이야기를 털어놓은 글로, 여러 저자가 함께 기획한 7편의 ‘섭식장애와 여성의 몸’ 기획 기사 중 하나예요. ‘키빼몸’, ‘미용 몸무게’로 고민했던 적 있다면 추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