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이 비의 이름은 장마가 아니라 기후위기다.”

이 비의 이름은 장마가 아니라 기후위기입니다.” 요즘 SNS에서 핫한 문장인데요. 전문가들도 이번 역대급 장마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분석해요. 전문가들이 왜 이런 분석을 내놨는지 알려면 ‘장마’가 뭔지부터 짚고 넘어가야 해요.

  • ☔장마: ‘🔴북태평양 고기압’이라는 친구가 있어요. 적도가 고향이라, 따뜻하고 눈물이 많은데요. 매년 이맘때 한반도 쪽으로 ‘🔵찬 공기’를 만나러 오고, 보통 남부지방에서 ‘오랜만이야’ 하고 만나요. 이 만남의 선을 ‘장마전선’이라고 하고요(사진). 둘은 만날 때마다 눈물을 왈칵 쏟고, 북쪽까지 찬 공기를 밀고 올라가면서 엉엉 울어요.

 

근데 이번엔 위 아래 위위 아래 했던데?

원래 🔵찬 공기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밀면 밀리는 대로 북쪽으로 올라가는데, 올해는 찬 공기가 떡하니 버티고 움직이지 않았다고. 밀당에 실패한 🔴북태평양 고기압은 발만 동동 굴렀고, 그 바람에 장마전선은 한반도 위에서 쭉 머무른 거예요. 🔵찬 공기가 떡 하니 버틴 이유로 전문가들은 2가지 가능성을 제시해요:

  1. 제트기류 때문이야: 지구는 대기 온도에 따라 북극에서 남극까지 6층으로 나눌 수 있어요. 각 층 사이에는 아주 빠르게 흐르는 공기가 있는데 그걸 제트기류라고 불러요 ✈️. 이 기류는 각 층이 무너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최근 북극 공기가 따뜻해진 탓에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한쪽이 우리나라까지 축 처졌어요(사진). 이게 북태평양 고기압을 딱 막고 선 거죠. 

  2. 시베리아 때문이야: 올해 시베리아도 이상 기온 때문에 엄청 뜨거워졌죠. 그 뜨거운 공기가 아래까지 내려와, 원래 위쪽으로 올라갔어야 할 찬 공기를 막아서 북태평양 고기압도 더 밀고 올라가지 못한 거죠.

 

그럼 다른 나라도 영향을 받았겠는데?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에도 영향이 커요.

  • 중국: 두 달 넘게 내린 폭우로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 사람이 수재민이 됐어요. 농경지도 많이 물에 잠겼는데, 우리나라 면적의 절반보다 커요.

  • 남아시아인도와 네팔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폭우 피해가 심각해요. 특히 방글라데시는 나라의 3분의 1이 물에 잠겼어요.

  • 유럽: 폭염과 가뭄이 몇 달째 이어지고 있어요. EU는 올해 농작물을 평소보다 절반밖에 수확하지 못할 것 같다고 예상했어요.

 

내년에도 이렇게 폭우가 내릴까?

확실치 않아요. 2년 전 여름에는 혹독하게 더웠고, 작년 여름엔 태풍이 7번이나 왔잖아요. 지난겨울은 너무 따뜻했고요. 갈수록 날씨는 더 종잡을 수 없어지고, 극단적으로 변하고 있어요. 앞으로 경험하지 못한 날씨가 찾아오는 건 시간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더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 하루빨리 지켜야 한다고 강조해요.

재난은 누구에게 먼저 비극이 되는가: 책 <폭염사회> 

2018년, 역대급 폭염이 계속되고 열대야에 밤잠 여러 날 설치던 때, 온열질환에 가장 많이 걸린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바로 저소득층입니다. 에어컨 등 냉방기가 없고, 엄청 더울 때도 일하러 갈 수밖에 없었거든요.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에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평소 같은 원인으로 사망하던 사람보다 790명 많았다고. 게다가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무더위쉼터 3곳 중 2곳도 문을 닫아서, 취약계층은 더위를 피해 갈 곳이 더 없어졌어요.


25년 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어요. 미국 시카고에서 기온이 41도까지 올라가는 날이 일주일 넘게 이어졌고, 700여 명이 숨진 일인데요. 이걸 이상하다고 생각한 사회학자 에릭 클라이넨버그가 연구를 시작합니다. 클라이넨버그는 사망자의 집을 하나하나 방문하다가 공통점을 발견해요. 대부분이 저소득층이거나 사회 취약계층이라는 것. 클라이넨버그는 이 과정을 책으로 펴냈고, 우리나라에는 역대급 폭염이 이어지던 2018년에 <폭염사회>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어요.

#책#재해재난#기후위기#환경

구독할 경우 개인정보 수집·이용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하게 됩니다.

더 편하게 보고싶다면? 뉴닉 앱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