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back to 기업회생절차 🚗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쌍용자동차, back to 기업회생절차 🚗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무한반복, 뫼비우스의 띠 말고 ‘기업회생절차의 띠’ 위를 줄기차게 달리는 자동차가 하나 있었으니... 그 이름은 바로 쌍용 🚗. 기업회생절차에서 벗어나려고 10년간 죽어라 엑셀 밟고 회사 주인까지 바꿔가며 달렸는데, 이정표를 살펴보니 다시 기업회생절차를 향하고 있는 것 같다고.
-
기업회생절차: 법정관리라고도 하는데요. 기업이 빚이 많아 홀로 설 수 없지만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 법원이 전문가를 정해 대신 관리하게 하는 걸 말해요. 법원이 나선다는 건 그만큼 재정 상태가 아슬아슬하다는 것.
쌍용자동차가 달려온 길 어땠어?
산 넘고 물 건너 험난했던 역사를 살펴보면요.
-
1954년, 부릉부릉 시동 걸다: 제작소로 시작한 쌍용차는 ‘한국은 할 수 있다(Korea Can Do)’는 뜻의 코란도(KORANDO)를 선보이며,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을 이끌었어요.
-
1998년, 빨간 불 들어오다 🚦: IMF 외환위기 사태 이후, 길이 어두워지기 시작했어요. 빚이 너무 많아진 탓에, 워크아웃(=은행 등 금융권이 나서서 돕는 것)에 들어갔고요.
-
2009년, 삐뽀삐뽀 ‘기업회생절차’ 🚨: 이후 차가 잘 팔린 덕분에 워크아웃은 벗어났지만(2005년 ), 자금 사정은 여전히 안 좋았어요.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이끌어보겠다고 했다 손을 뗐고, 결국 법원이 나서 2년간 법정관리에 들어갔어요.
이후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가 인수하며 괜찮아지나 싶었는데, 14년 동안 1년 빼고 쭉 적자였어요. 회사 사정을 살려보겠다며 직원 2600여 명을 구조조정했다가 노사 갈등도 심각해졌고요. 결국 작년 마힌드라 측도 “경영권 포기, 새 투자자 찾아라!”하고 흰 수건을 펄럭였어요.
구구절절 스토리네... 그래서 지금은?
미국 HAAH오토모티브가 투자하려나 싶었는데요. 정해진 시간까지 투자 결정 여부조차 정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결국 다시 법원의 품으로 돌아왔고요. 이제 법원에 남은 선택지는 2개: 가치 있는 기업이라 판단되면 열심히 살려본다(=기업회생절차) vs. 계속하면 손해만 날 것 같으니 ‘이제 그만 ✋’을 외친다(=청산절차). 쌍용차가 어느 길을 달리게 될지는 to be continu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