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공해생물다양성보전협약(BBNJ) 체결

유엔 공해생물다양성보전협약(BBNJ) 체결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유엔 공해생물다양성보전협약(BBNJ) 체결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4,381

지난 4일, 바다 환경에 관한 오랜 숙제가 하나 풀렸어요. 유엔(UN) 회의에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19년 만에 약속을 하나 한 건데요. 그 약속의 이름은 바로... 공해생물다양성보전협약(BBNJ).

무슨 이름이 그렇게 길어...

사실 찐 풀네임은 더 길지만, 이것만 알면 돼요: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은 바다에서(공해) + 여러 바다 생물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해양생물다양성) + 바다 환경을 지키고(보전) + 바다를 오랫동안 잘 이용하자(지속가능이용)는 것 🌊. 더 짧게 줄이면, “우리 모두의 바다를 지켜라!”

그런 얘기가 이제 나온 거야...?

19년 전부터 논의했는데 이번에 땅땅 합의한 거예요. 여태 다들 ‘바다에서 우리 나라가 최대한 뽕 뽑아야지’ 생각해서 얘기가 잘 안됐거든요. 각 나라 정부가 회의만 5번을 했는데 끝까지 뜻을 못 모았어요. 특히 개발도상국: “선진국은 지금까지 많이 해 먹었으니까 좀 양보하지? 😇” vs. 선진국: “갑자기 크게 바꾸지 말고 할 수 있는 것부터 하자! 😅” 하며 입장 차이가 심했고요. 

이번에는 무려 38시간 동안 회의가 이어졌는데요. 회의를 연장한 끝에 합의에 다다랐어요: “바다 환경 지키는 게 우선이야!” 우리 정부도 이번에는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고. 

다행이네. 어떤 내용인데?

핵심만 딱 정리해보자면:

  • 바다 지키고 기후위기 막아 🏖️: 공해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정하기로 했어요(지금은 2%). 바다는 온실가스를 팍팍 흡수하기 때문에, 공해를 보호하면 기후위기를 막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 바다 생물도 지켜 🐳: 이러면 자연스럽게 고래나 바다거북 같은 바다 생물의 삶도 보호할 수 있어요. 보호구역에서는 물고기를 잡거나 배가 오가는 행위 등을 막을 수 있기 때문.

  • 이익과 정보는 나눠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바다 자원에서 얻는 이익과 정보를 골고루 나눠요. 바다와 관련된 과학 기술도 공유하고요.

  • 인간 활동은 지켜봐 🔍: 공해에서 이뤄지는 인간 활동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기준을 만들어요. 어류를 잡거나 바다 땅을 파는 일이 바다 환경에 얼마나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거예요.

엄청 좋은 거 같은데?

맞아요. 환경단체들은 “바다 환경에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할 정도 👏. 이번 협약의 의미 2가지만 짚어보면

  • 당당하게 공해 보호: 공해 환경을 지킬 법적 바탕이 최초로 생긴 거예요. 각 나라가 칼같이 지켜야 하는 국제법이기 때문. 

  • 환경 보호도 최신으로: 바다와 관련된 유엔의 협정은 약 30년 만에 새로 생긴 거예요. 이전 협약은 옛날 거라 기후위기에 관한 내용도 없었는데, 이번에 시대에 맞게 업데이트된 것.

약속이 완전히 매듭지어지려면 몇몇 절차가 남았는데요. 여기에 따라 우리나라도 법을 다듬을 거라고.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