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357

조지 플로이드. 지난달 25일, 백인 경찰에 목이 눌려 “숨을 쉴 수 없다”고 호소하다 숨진 ‘흑인’  피해자입니다. 경찰은 플로이드가 물리적으로 저항했다고 했지만, CCTV를 확인해 보니 플로이드는 순순히 체포됐었고, 부검 결과 목이 눌려 숨진 과잉진압이 맞았어요. 이에 과잉진압과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가 점점 더 격해지고 있어요 📣.

 

시위는 얼마나 심각한 거야?

꽤 심각해요. 시위는 (사건이 발생한 미니애폴리스뿐만 아니라) 미국 140개 도시(지도)로 번졌어요. 평화롭게 진행되는 곳도 있지만, 일부 시위는 방화, 약탈로 이어지며 폭동으로 번지기도 했고요. 어제까지 약 5600명의 시위대가 체포됐고, 최소 6명이 숨졌습니다. 뉴욕 등 40여 개 도시에 야간통행금지령이 내려졌는데도 시위는 계속됐고요. 트럼프 대통령은 각 주가 ‘폭동’에 제대로 대응을 안 한다며 자신이 직접 군대도 투입할 수 있다고 했는데, 실제로 워싱턴 D.C.에서는 헬기까지 등장했어요.

 

시위가 왜 이렇게까지 커진 거야?

1. 고질적인 인종차별: 인종차별은 미국에서 법으로 금지됐지만, 흑인의 일상에서는 현재 진행형이에요. 공원을 걷다가 부당하게 신고당하고, 경찰이 과잉진압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에요. 2014년에도 담배를 팔던 흑인이 백인 경찰에 목이 눌려 숨졌고, 2012년에도 먹을 걸 사고 집에 가던 고등학생이 자율방범대원의 총에 맞아 숨졌지만 가해자는 모두 처벌받지 않았어요.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Black Lives Matter)*’도 2013년에 처음 나온 거예요 ✊🏽✊🏾✊🏿.

*비슷한 구호로 ‘모두의 생명은 소중하다(All Lives Matter)’라는 표현도 있어요. 하지만 요건 BLM 운동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리는 의미로, 주로 인종차별을 가하는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사용해요. 

 

2. 제대로 처벌받지 않는 구조: 과잉진압이 반복될 수 있던 데는 ‘경찰의 면책권’도 한몫한다고. 미국 공무원은 인권을 침해하더라도 ‘선의’로 그랬다는 걸 증명하면, 책임을 피할 수 있거든요. 플로이드를 숨지게 한 경찰관도 과거에 17번이나 고소·고발을 당했는데, 그중 단 한 번만 징계받았다고.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살인죄로 기소됐지만, 옆에 있던 다른 경찰관 3명도 강하게 처벌받아야 한다는 게 시위대의 주장이에요 🚨. 


3. 코로나19 피해마저 차별적: 많은 사람이 직장을 잃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큰 와중에도, 특히 흑인의 타격이 컸어요. 흑인은 주로 주유소나 식료품 가게처럼 직접 사람을 만나는 곳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인지 전체 인종 중에서 흑인의 감염률이 제일 높아요. 하지만 미국 의료보험은 너무 비싸 치료도 제대로 못 받은 경우가 많고요. 게다가 도시가 봉쇄돼 직장까지 잃으면서 미국에 사는 흑인 4명 중 1명은 지난달 월세를 내지 못했다는 연구도 있어요. 이번 시위에서 이런 다양한 분노와 좌절이 터져 나오면서, 점점 더 규모가 커지고 있는 거고요.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