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통과 후, 이제 고3도 투표해요 🙋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선거법 통과 후, 이제 고3도 투표해요 🙋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216

 

우리나라 북치기 박치기 시끄럽던 선거법이 결국 통과됐어요. 통과 과정에서 국회는 아수라장이 됐지만, 일단 내년 총선 룰은 어느 정도 정해졌습니다!


내년 선거, 뭐가 달라지는 거야?
1. 투표 연령이 내려가요: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만 19세 이상만 투표할 수 있었지만, 내년 총선부터는 만 18세도 투표할 수 있게 됐어요(내년 기준 2002년 4월 16일 이전 출생). 이로써 추가로 선거권을 얻게 되는 국민은 약 53만 명 이상.

2.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기존 제도는 정당 득표율과 실제 의석수 비율 사이에 차이가 있었어요(예: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26%의 정당 득표율을 얻었지만, 실제 가져간 총 의석 수는 12%). 자신의 정당 득표율만큼 의석을 못 가져간 정당이 의석을 더 가져가도록, 준연동형 비례제를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석에 (연동률 50%) 적용하기로 했어요.
*국회의원 총 300석 중 지역구: 253석, 비례대표: 47석

그렇군! 근데 화난 사람도 있다던데...
바로 자유한국당. 준연동형 비례제가 적용되면 한국당은 원래 가져갔던 비례대표 의석을 다른 정당에 뺏길 수 있어요. 내 의석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한국당, 얼굴에 점 하나만 콕 찍고 ‘비례한국당(제2의 한국당, 지역구 후보 없이 비례대표 후보만 내는 것이 특징)’을 내겠다고 하는 중이죠. 그런데 2가지 점에서 논란이에요:

1. 투표용지, 어디까지 내려가니: 한국당처럼 다른 당도 ‘비례대표 전용 정당'을 만들기 시작하면 정당이 너무 많아져서 유권자가 혼란스러울 수 있어요. 지금 중앙선관위에 등록된 정당만 34개인데,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정당만 16개에 달하고요. (하지만 선거에서 3% 이상 표를 얻어야 비례 의석을 받으므로, 실제로 혼란까지는 안 갈 거라는 의견도 있어요.)

2. 이럴 거면 그러지 말지.mp3: 준연동형 비례제는 정당 득표율은 높지만 실제 의석이 그만큼 미치지 못하는 작은 정당에 비례의석을 더 주기 위해서 도입한 것인데, 거대 정당이 비례정당을 만들어서 의석을 가져가면 제도를 도입한 이유가 없죠.

선거법은 그렇다 치고, 국회 또 싸우던데? ⚔️
맞아요. 민주당은 소수 정당들과 힘을 합쳐(4+1협의체) 한국당과의 1차전(선거법)을 끝냈지만 다가오는 2차전(공수처법)은 쉽지만은 않아 보여요. 공수처법은 4+1협의체 안에서도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의원들이 있는데, 만-약 협의체 안에서 19명 이상이 반대표를 던지면 통과가 어려울 수도. 치열한 설득이 예상되는 공수처법 표결은 오늘 이루어집니다.

 
2025 대선 정보 총정리.zip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