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특례제, 예체능 미필의 운명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병역특례제, 예체능 미필의 운명

올해 6월, 국민청원 게시판 인기 글: “U-20 월드컵에서 준우승한 국가대표 선수들, 군 생활 면제해주세요!” 그래서 정부가 고민을 해봤는데요. 어김없이 군대는 가야 할 것 같아요. 이게 웬 당연한 말이냐고요?
배경
사나이로 태어나면 할 일도 많다만, 우리나라에서는 군대도 가야 하죠. 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으니, 그중 하나가 예술·체육 병역특례 제도. 국제대회에서 상을 받아 나라를 빛낸 운동선수, 예술가들은 사실상 군 생활을 안 해도 되는 제도*예요.
*정확히는 4주간 기초군사훈련을 받은 후, 자신의 특기를 살려 봉사활동을 하게 됩니다.
- 예술·체육 병역특례 제도, 어떻게 받냐고요? 🥇 예술가라면 국제예술경연대회에서 2등 안에 들면 되고요. 운동선수이라면 올림픽에서 3위 안에 들거나,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는 등의 기준 안에 들어야 해요.
하지만 논란은 계속 있었어요.
✅ 좀 불공평한 것 같아: 정해진 대회에서 딱 한 번 잘하면, 군대 안 가도 된다는 것이요.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이 아니더라도 나라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스포츠 대회(월드컵 등)가 많다는 거죠. 예술 쪽에서도 K-POP 등 대중문화로 우리나라 배부르게 한 예술인들이 많은데, 국제경연대회가 없다는 이유로 병역특례를 받을 기회조차 없는 상황이고요.
✅ 악용하는 거 아니야?: 최근 문제가 불거진 건 작년 8월 아시안게임인데요. 일부 프로 선수들이 군대 가는 걸 계속 미루다가, 병역특례를 받으려고 금메달 받을 게 거의 확실한 아시안게임에 나왔다는 논란이 있었어요. 해당 선수들의 기존 성적이 썩 좋진 않아 사람들이 따가운 눈빛을 보냈고요.
And now
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국방부·병무청·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3월부터 머리 맞대고 고민하여 이번에 거의 결론을 냈어요: “지금 제도 그대로 유지하자!” 1년에 예술체육요원 되는 사람이 30~40명밖에 안 돼서 현역으로 온다 해도 큰 변화가 없는 데다, 예술가들과 운동선수들이 열심히 활동하면 국민들의 사기가 올라간다는 건 사실이라 일단 법은 안 바꾸기로 했대요. 실제로 어떻게 바뀌는지는 이번 달 안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