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폐허는 어디로 갔을까?
작성자 나무
조경가의 도시 해석법
그 많던 폐허는 어디로 갔을까?
나무
@ayoun90•읽음 173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도시의 급 성장, 빈집으로 남은 장소
관심이 없으면 알수 없는 이유들로 어떤 지역은 부촌으로 개발이 되고
어떤 지역은 사람이 살지 않는 폐허로 남겨져 있다
몇 십년의 개발을 겪으면서 남겨진 빈집, 그 폐허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빈집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의미
서울시는 장기간 폐허로 방치된 17개의 빈집을 찾아 매입하고, 시민들에게 생활정원 으로 돌려주는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빈집을 정원으로 바꿔 제공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단절 되었던 주민들의 소통의 장소가 되고 흉물스러운 외관을 정비함과 동시에 공원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 주택가에 자연 힐링 장소가 된다
금천구 폐허의 정원
서울 금천구 시흥동 108-56
폐허의 정원이라는 컨셉으로 조성된 빈집 정원이다.
"빈집" 이라는 장소성을 나타내는 캐노피와 무너진 담을 모티브한 출입구에서 프로젝트의 의미를 느낄 수 있다.
부드러운 사초류로 감싼 초록의 정원은 주민들이 한숨 돌릴 수 있는 위로의 정원이 된다.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공공을 위한 장소, 우리 도시 곳곳에서 초록으로 빛나고있는 자연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https://blog.naver.com/ayoun90/223456216612
▲ 더많은 정보를 알고싶다면?